파이썬 - 리스트 - Python Tutorial - 03

예전 강의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하세요


*파이썬으로 코딩을 배워보자 - Python Tutorial - 01*

https://wormkoo.blogspot.com/2022/09/python-tutorial-01.html


*파이썬 - 변수와 연산자 - Python Tutorial - 02*

https://wormkoo.blogspot.com/2022/09/python-tutorial-02.html


이번시간에는 리스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List 란?

이름 그대로 리스트는 항목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문자열의 집합 혹은 숫자의 집합이 될 수 있는데요, 예시를 보겠습니다.

 

마트에서 구매해야 하는 쇼핑리스트를 작성해봅시다.


 

리스트를 만들때에는 네모난 괄호를 사용합니다.

 

2. 색인(index)의 사용

리스트에 있는 특정 항목을 알고싶을때에 사용합니다.

 

색인 또는 인덱스는 리스트에 있는 항목의 순서 혹은 위치를 의미합니다.

 

인덱스는,

  • 0부터 시작
  • 리스트의 첫번째 항목은 인덱스 0
  • 5개 항목의 리스트는 최대 4의 인덱스를 갖는다

 

쇼핑 리스트에 첫번째에 위치한 항목은 아래와 같이 표현이 가능합니다.


 

인덱스를 사용하여, 리스트에 이미 들어있는 항목을 아래와 같이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4번째 항목이 potato 에서 sugar로 바뀐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에 있는 항목을 삭제하고 싶을때에는 remove metho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Method 에 대해서는 아직 다루지 않았지만,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3. 리스트의 methods

a. append

리스트에 항목을 추가 할 때 쓰이는 method입니다.

 


 

b. sort

리스트의 항목들을 정렬할 때 사용됩니다.


 

 

4. 두개의 리스트의 연결 (2D 리스트)

음식점의 메뉴와 가격이 적혀있는 리스트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같은 인덱스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배웠던 placeholder를 사용해봅시다.

 


 

이제 두 리스트를 포함한 새로운 리스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두개의 리스트가 합쳐져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리스트에서 ‘Burger’의 값을 불러오기 위해서는 두가지 인덱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첫번째 인덱스는 myMenuPrice에 저장되어 있는 두개의 리스트를 의미합니다.

 

‘Burger’는 첫번째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0을 사용합니다.

 

첫번째 리스트 안에서 ‘Burger’는 두번째 항목이므로, 두번째 인덱스는 1을 사용합니다.

 

이를 코드로 표현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다음 강의 - Tuples and maps*